반응형

자격증 219

[정보처리산업기사] 39강 HW 관련 신기술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시 즉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메커니즘 3D Printing 대상을 평면에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제 물체로 만드는 것 4D Printing 특정 시간이나 환경 조건이 갖추어지면 스스로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제조되는 자가 조립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3D Printing하는 기술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 4K 해상도 고화질 모니터 해상도 앤 스크린(N-Screen)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컴페니언 스크린(C..

[정보처리산업기사] 38강 SW / 보안 관련 신기술

1. SW 관련 용어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은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의 개발 언어로는 리스프(LISP), 프롤로그(PROLOG) 등이 있음 뉴럴링크(Neuralink)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회사이다.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신경 레이스 기술을 바탕으로 작은 전극을 뇌에 이식함으로써 생각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딥러닝(Deep Learning) 딥 러닝은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 학습 기술이다. 많은 데이터를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

[정보처리산업기사] 37강 빌드 자동화 도구

1. 빌드 자동화 도구의 개념 빌드란 소스 코드 파일들을 컴파일한 후 여러 개의 모듈을 묶어 실행 파일로 만드는 과정이며, 이러한 빌드를 포함하여 테스트 및 배포를 자동화하는 도구를 빌드 자동화 도구라고 한다. 애자일 환경에서는 하나의 작업이 마무리될 때마다 모듈 단위로 나눠서 개발된 코드들이 지속적으로 통합되는데, 이러한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개발 환경에서 빌드 자동화 도구는 유용하게 사용된다. 빌드 자동화 도구에는 Ant, Make, Maven, Gradle, Jenkins 등이 있으며, 이 중 Jenkins, Gradle이 가장 대표적이다. 2. Jenkins Jenkins는 JAVA 기반 오픈 소스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빌드 자동화 도구이다. 서블릿 컨테..

[정보처리산업기사] 36강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도구

1. 공유 폴더 방식 공유 폴더 방식은 버전 관리 자료가 로컬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개발자들은 개발이 완료된 파일을 약속된 공유 폴더에 매일 복사 담당자는 공유 폴더의 파일을 자기 PC로 복사한 후 컴파일 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 이상 유무 확인 과정에서 파일의 오류가 확인되면, 해당 파일을 등록한 개발자에게 수정을 의뢰 파일에 이상이 없다면 다음날 각 개발자들이 동작 여부를 다시 확인 파일을 잘못 복사하거나 다른 위치로 복사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 파일의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관리 종류에는 SCCS, RCS, PVCS, QVCS 등이 있음 2.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은 버전 관리 자료가 중앙 시스템(서버)에 저장되어..

[정보처리산업기사] 35강 소프트웨어 버전 등록

1. 소프트웨어 패키징의 형상 관리 형상 관리(SCM :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는 소프트웨어의 개별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이다. 소프트웨어 변경의 원인을 알아내고 제어하며, 적절히 변경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통보한다.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단계에 적용되는 활동이며, 유지보수 단계에서도 수행된다.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체 비용을 줄이고, 개발 과정의 여러 방해 요인이 최소화되도록 보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형상 관리의 중요성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 통제할 수 있음 제품 소프트웨어에 대한 무절제한 변경 방지 제품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버그나 수정 사항 ..

[정보처리산업기사] 34강 UI 테스트 기법의 종류

1. UI 테스트 구현된 UI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를 수행하고, 결과에 따라 개선 및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는 행위 또는 그 절차를 의미하낟. UI테스트는 사용자가 미리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직접 제품을 사용하면서 진행하는 사용자 중심 테스트 UI테스트는 요구사항과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 방법 UI테스트 중에 발생되는 산출물은 메뉴얼 작성 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2. UI 테스트 기법의 종류 휴리스틱 평가(Heuristic Evaluaion) 사용성에 대한 문제를 찾아내기 위한 사용성 공학 방법으로 전문가에 의해 이론과 경험을 근거로 하여 일련의 규칙들을 만들어 놓고 평가 대상이 그러한 규칙들을 얼마나 잘 지키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평가 방법이다. 페이퍼 프로토타입 (Pape..

[정보처리산업기사] 33강 UI 설계 도구

1. UI 설계 도구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UI의 화면 구조나 화면 배치 등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도구 UI 설계 도구로 작성된 결과물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실제 구현되었을 때 화면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어떤 방식으로 수행되는지 등을 기획단계에서 미리 보여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2. 와이어프레임(Wireframe) 와이어프레임은 기획 단계의 초기에 제작하는 것으로, 페이지에 대한 개략적인 레이아웃이나 UI 요소 등에 대한 뼈대를 설계하는 단계이다. 와이어 프레임을 제작할 때는 각 페이지의 영역 구분, 콘텐츠, 텍스트 배치 등을 화면 단위로 설계한다. 개발자나 디자이너 등이 레이아웃을 협의하거나 현재 진행 상태 등을 공유하기 위해 와이어프레임을 사용한다. 와이어 프레임 툴 : 손그림, 파워포인트,..

[정보처리산업기사] 32강 UI 표준 및 지침

1. UI 표준 및 지침 UI 표준과 지침을 토대로 기술의 중립성(웹 표준), 보편적 표현 보장성(웹 접근성), 기능의 호환성(웹 호환성)이 고려되었는지 확인한다. UI 표준 전체 시스템에 포함된 모든 UI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내용으로, 화면 구성이나 화면 이동 등이 포함된다. UI 지침 UI 요구사항, 구현 시 제약사항 등 UI 개발 과정에서 꼭 지켜야 할 공통의 조건을 의미한다. 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웹 콘텐츠의 제작방법을 제시한다. KWCAG의 목적은 웹 콘텐츠 저작자, 웹 사이트 설계자 등이 접근성이 보장된 웹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KWCAG에는 웹 접근성의 준수 여..

[정보처리산업기사] 31강 사용자 인터페이스

1.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의 개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초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에만 국한되었지만 점차 사용자가 수행할 작업을 구체화시키는 기능 위주로 변경되었고, 최근에는 정보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표현 방법으로 변경되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세 가지 분야 정보 제공과 전달을 위한 물리적 제어에 관한 분야 콘텐츠의 상세적인 표현과 전체적인 구성에 관한 분야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에 관한 분야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징 사용자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소프트웨어 영역 중 변경이 가장 많이 ..

[정보처리산업기사] 30강 결함관리

1. 결함(Fault)의 정의 결함은 오류 발생, 작동 실패 등과 같이 소프트웨어가 개발자가 설계한 것과 다르게 동작하거나 다른 결과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예상한 결과와 실행 결과 간의 차이나 업무 내용과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변경이 필요한 부분도 모두 결함에 해당된다. 2. 결함 관리 프로세스 결함 관리 프로세스는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에서 발견된 결함을 처리하는 것으로, 처리 순서는 다음과 같다. 결함 관리 계획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결함 관리 일정, 인력, 업무 프로세스 등을 확보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결함 기록 테스터는 발견된 결함을 결함 관리 DB에 등록 결함 검토 테스터, 프로그램 리더, 품질 관리 담당자 등은 등록된 결함을 검토하고 결함을 수정할 개발자에게 전달 결함 수정 개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