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격증 219

[SQL 첫걸음] 13강. 문자열 연산

문자열 결합 문자열 결합이란 문자열 데이터를 결합하는 연산을 말한다. 문자열을 결합하는 연산자에는 데이터베이스 제품마다 방언이 있어서 차이가 있다. + || CONCAT SUBSTRING TRIM CHARACTER_LENGTH 데이터베이스 제품별 문자열 결합 연산자 +: SQL Server ||: Oracle, DB2, PostgreSQ CONCAT: MySQL 연산자, || 연산자, CONCAT함수로 문자열을 결합할 수 있다! 문자열 결합은 2개의 열 데이터를 모아서 1개의 열로 처리하고 싶은 경우에 자주 사용한다. 문자열 결합 예시 SELECT * FROM world.countrylanguage c ; 위의 테이블 countrylanguage Language열과 CountryCode열의 데이터를 결합..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12강. 수치 연산

SELECT구로 연산하기 SELECT 식1, 식2... FROM 테이블명; 열의 별명 별명이 중복되지 않게 지정한다. 별명은 예약어 AS를 사용해서 지정한다. SELECT구에서는 콤마(,)로 구분해서 복수의 식을 지정할 수 있고, 각각의 식에 별명을 붙일 수 있다. MySQL에서는 별명을 중복해서 지정해도 에러는 발생하지 않는다. But,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결과값의 처리 방식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별명이 중복되지 않게 지정하자. 키워드 AS는 생략 가능하다. 단, 별명을 한글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로 오작동하는 경우가 많다. 더블쿼트("")로 감싸서 지정한다. (MySQL에서는 백쿼트(``)로 감싸준다!) 더블쿼트("")로 감싸주면,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이름이라고 간주한다...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11강. 결과 행 제한하기- LIMIT

1. LIMIT구 mysql> SELECT 열명 FROM 테이블명 LIMIT 행수 [OFFSET 시작행]; 2. 행수 제한 LIMIT구는 표준 SQL은 아니다. MYSQL과 PostgreSQL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문법 2-1. LIMIT구 문법 mysql> SELECT 열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ORDER BY 열명 LIMIT 함수; LIMIT 다음에는 최대 행수를 지정한다. 만약, 테이블에 1개의 행만 있다면, LIMIT 3으로 지정하더라도 1개의 행만 반환된다. LIMIT으로 제한하는 행수는 최대 행수이므로 존재하는 행이 더 적으면 존재하는 해당 행만큼 반환된다! 2-2. 정렬한 후 제한하기 LIMIT은 WHERE와는 기능과 내부처리 순서가 전혀 다르다! LIMIT 반환할 행수를 제한하..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10강. 복수의 열을 지정해 정렬하기

1. ORDER BY mysql> SELECT 열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ORDER BY 열명1 [ASC | DESC], 열명2 [ASC | DESC]...; 복수의 열을 지정해 정렬하는 경우 ex) 상품코드와 해당 상품의 하위 번호까지 함께 고려하는 경우 정렬할 때 NULL값에 주의해야 한다! 2. 복수 열로 정렬 지정 ORDER BY구를 지정해도 1개의 열만으로는 정확히 순서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언제나 같은 순서로 결과를 얻고 싶다면, 반드시 ORDER BY구로 순서를 지정해야 한다. 2-1. ORDER BY구로 복수 열 지정하기 mysql> SELECT 열명 FROM 테이블명 ORDER BY 열명1, 열명2...; 값이 같아서 순서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지정..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9강. ORDER BY

1. ORDER BY로 검색 결과 정렬하기 SELECT 명령에 ORDER BY 구를 지정하면 검색 결과의 행 순서를 바꿀 수 있다. 2. 오름차순으로 정렬 SELECT 열 FROM 테이블 WHERE 조건식 ORDER BY 열 ASC; ASC는 생략 가능하다. 3. 내림차순으로 정렬 SELECT 열 FROM 테이블 WHERE 조건식 ORDER BY 열 DESC; 검색 조건이 필요없으면 WHERE 구를 생략한다. 4. 대소관계 4-1. 수치형 데이터, 날짜형 데이터 : 숫자 크기로 판별 1 < 2 < 10 < 100 1999 < … < 2013 < … < 2020 4-2. 문자열형 데이터 : 사전식 순서(ABC순, 가나다순) 가방 < 가족 < 나비 car < flower < glasses 4-3. 사전식 순..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8강. 패턴 매칭에 의한 검색

1. LIKE로 패턴 매칭하기 열명 LIKE '패턴' 패턴을 정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메타문자로는 %(퍼센트)와 _(언더스코어)가 있다. 퍼센트는 임의의 문자열을 의미하며, 언더스코어는 임의의 문자 하나를 의미한다. 패턴을 정의할 때는 메타문자를 여러개 사용 가능하며 와일드카드로 자주 쓰이는 *는 LIKE에서는 사용불가하다. SELECT * FROM SAMPLE25 WHERE TEXT LIKE '%SQL'; text 열 데이터가 SQL ~ 로 시작하는 행을 검색(전방일치) SELECT * FROM SAMPLE25 WHERE TEXT LIKE '%SQL%'; text 열 데이터가 중간에 SQL을 포함하고 있는 행을 검색(중간일치) SELECT * FROM sample25 WHERE text LIKE '%..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7강. 조건 조합하기

1. AND로 조합하기 SELECT *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1 AND 조건식2; 복수의 조건을 조합할 경우 AND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AND는 논리연산자의 하나로 좌우의 항목이 필요한 이항 연산자가 됩니다. AND 연산은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집합으로 표현했을 때 이들 집합이 겹치는 부분, 즉 "교집합"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AND연산자는 논리곱을 계산하는 논리연산자입니다. AND로 조건식을 연결하면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2. OR로 조합하기 SELECT *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1 OR 조건식2; 어느쪽이든 하나만 참이 되면 조건식은 참이 된다라고 할 경우에는 OR로 조건식을 연결합니다. OR또한 논리연산자로 좌우 항목이 모두 필요한 이항..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6강. 검색 조건 지정하기

1. SELECT 구에서 열 지정하기 SELECT 열1, 열2, .... FROM 테이블명; 기존에 SELECT 구를 사용하여 *를 사용하면 모든 열을 취득했다. 하지만 원하는 열만 조회를 원하면 해당하는 열의 이름을 넣어 조회가 가능하다. 열은 콤마(,)로 구분지어 여러개로 조회가 가능하다. 2. WHERE 구에서 행 지정하기 테이블의 행은 열에 비해 훨씬 많을 수 있다. 이처럼 많은 행 속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검색하기 위해서는 WHERE 구를 사용한다. WHERE 구는 FROM 구 뒤에 사용하며 WHERE뒤에는 검색 조건을 표기합니다. SELECT * FROM TEST WHERE NO=2; 조건식에서 NO=2는 열이 NO이고 값이 2일 경우 참이 되는 조건입니다. 조건식은 참 또는 거짓의 진리값을 반..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5강. 테이블 구조 참조하기

1. DESC 명령어 DESC 명령어를 사용하면 테이블의 어떤 열이 정의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즉 조회하고 싶은 테이블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Field : 컬럼 이름. Type : 자료형. Null : Null 허용 유무. YES 는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 Key : Key 종류를 의미함. 예) PRI. Default :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설정되는 기본값을 나타냄. Extra : 기타 정보를 표시함. 예) auto_increment. 2. 자료형 INTEGER형 수치형은 하나의 정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소수점은 포함할 수 없습니다. CHAR형 문자열형의 하나로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문자열 형에서는 열의 최대길이를 지정해야 합니다. Char형..

자격증/SQLD 2022.04.04

[SQL 첫걸음] 4강. Hello World 실행하기

1. HELLO WORLD 실행하기 SELECT "HELLO WORLD" 2. SELECT 명령 구문 SELECT 명령어는 DML에 속하는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습니다. SELECT는 질의나 쿼리로 불리기도 합니다. SELECT * FROM 테이블명; SELECT : 명령의 종류 : 모든 열 FROM: 처리 대상을 지정하는 키워드 테이블명: 테이블명 ;(세미콜른): 명령문의 마지막을 지정 3. 예약어와 데이터베이스 객체명 SELECT와 FROM이 구를 결정하는 키워드이자 예약어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테이블 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관리하는 "어떤 것"을 만들 수 있으며 이 것을 데이터베이스 객체라고 부르며 뷰(View)가 그에 해당합니다. 통상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객체명에..

자격증/SQLD 2022.04.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