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DASP

[DAsP] 1-1-2절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동호다찌 2022. 5. 13. 16:19

과목1. 전사 아키텍처 이해

제 1장 전사 아키텍처 개요

 

1. 전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념

전사 아키텍처를 어떻게 표현하고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전체적인 사고의 틀로서, 전사 아키텍처 프로젝트 수행 시 이해 당사자 간의 의사소통 수단이 된다.

전사 아키텍처 활동에서 얻어지는 산출물을 분류하고 조직화하고 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전체적인 틀을 정의하는 것이다.

 

2. 전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구성

전사 아키텍처 방향과 원칙, 아키텍처 매트릭스를 정의하는 전사 아키텍처 정책 영역, 전사아키텍처의 구체적인 모습을 표현하는 형행 및 목표 아키텍처, 이행 계획을 포함하는 아키텍처 정보영역, 구축된 전사아키텍처를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정의하는 전사 아키텍처 관리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아키텍처 영역은 흔히 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 아키텍처 등으로 구분된다.

  • 정책 : 매트릭스, 비전, 원칙

  • 정보 : 현행, 목표, 이행 계획
  • 관리 : 관리 체계, 관리 시스템, 평가 모형

 

가. 전사 아키텍처 정책

전사 아키텍처 정책은 정보구성을 어떻게 구성할 것이고, 전사 아키텍처를 통하여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모습은 무엇이며,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원칙은 어떤 것인지를 정의하는 것이다.

  • 아키텍처 매트릭스 :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틀
(View)/ 관점(Perspective) 비즈니스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아키텍처 데이터아키텍처 기술 아키텍처
계획자(개괄적) 전체 업무, 조직의 구성 정보 전체 차원의 응용 시스템 구성 정보 전체 차원의 데이터베이스 구성 정보 기술 요소의 구성을 전체 차원에서 정리한 정보
- 전사 사업 모델
- 조직 모델
- 비즈니스 전략
- 전사 애플리케이션 영역 모델
- 애플리케이션 원칙
- 전사 데이터 영역 모델
- 데이터 원칙
- 전사 기술 영역모델
- 기술 참조 모델
책임자/분석자(개념적) 업무의 세부 구성 정보와 업무/조직 간 관계 정보 상위 수준의 기능 구성 정보와 응용시스템 간 관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되는 주요 데이터 개체와 개체 간 관계 정보 기술 기반 자원의 유형별 구성과 인터페이스 정보
- 업무 기능 모델 - 애플리케이션 모델- 애플리케이션 표준 - 개념 데이터 모델- 데이터 표준 - 표준 프로파일
설계자(논리적) 업무의 연계성, 흐름 정보 응용 시스템의 상세한 기능 정보와 물리적 분산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데이터 구조 기술 기반 자원의 도입과 운영을 위한 유형별 구조 및 관리 체계 정보
- 프로세스 모델 - 컴포넌트 모델 - 논리 데이터 모델 - 기술아키텍처 모델
개발자(물리적) 업무 수행을 위한 구체적 절차, 양식, 업무 관계 정보 프로그램의 물리적인 구성 체계와 각 프로그램 구현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 정보 도입된 기술 기반 자원의 도입, 운영, 관리에 관한 구체적 정보
- 업무 매뉴얼 - 프로그램 목록 - 물리 데이터 모델 - 데이터베이스 객체 - 기술 자원 목록 - 제품 목록

 

  • 비전 : 기업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모습

  • 원칙 : 기업의 목적에 맞게 전사 아키텍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의 공유해야 할 규범

 

나. 전사 아키텍처 정보

아키텍처 매트릭스에서 정의한 각 산출물에 대하여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의 정보를 구축한다. 그리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 계획을 수립한다.

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영역을 구분해야 하는데, 아키텍처 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아키텍처 도메인이라고 하며 현행 아키텍처와 목표 아키텍처는 이런 아키텍처 도메인별로 아키텍처 정보를 구축한다.

  • 현행 : 기업의 현재 상태를 아키텍처 정보로 정의한 것

  • 목표 : 기업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 이행 계획 : 현재 모습에서 바람직한 목표 모습으로 이행하기 위한 전략과 계획을 정의한 것

 

다. 전사 아키텍처 관리

정보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사 아키텍처 관리 체계의 정립과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 관리 체계 : 흔히 전사 아키텍처 거버넌스라고 말하기도 하며 구축된 전사 아키텍처를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수립하는 것 

  • 관리 시스템 : 정보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정보의 공유를 활성하기 위해 구축하는 정보 시스템
  • 평가 : 관리와 활용 수준의 제고를 위해서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반영

 

3. 아키텍처 도메인 구성

가. 비즈니스 아키텍처

기업의 경영목표를 달성을 위한 업무 구조를 정의한 아키텍처 영역으로, 기업의 업무와 서비스의 실체를 명확히 하는 것

  • 전자 사업 모델 (계획자 관점) : 전사의 범위를 정의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내외부의 이해관계자를 분석하고, 외부 객체와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전사를 정의한다.

  • 조직 모델 (계획자 관점) : 기업의 사업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기업의 조직 구조를 정의하는 것

  • 업무기능 모델 (책임자 관점) : 기업의 업무 기능을 계층적으로 분할하고 기능 내용을 정의하는 것

  • 프로세스 모델 (설계자 관점) : 업무 기능을 상세화하여 계층적으로 프로세스를 분할하고 활동 내용을 정의하는 것

  • 업무 매뉴얼 (개발자 관점) : 업무 기능이나 프로세스별 업무 내역을 상세 기술한 자료

 

나.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연관성을 정의하며, 업무와 IT 특성을 고려하여 그룹화하고 범주함으로써 전체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체계화하는 것이다.

  • 전사 애플리케이션 영역 모델 (계획자 관점) : 기업의 업무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특성 분석을 통해 이를 전사 수준에서 구조화하는 것
  • 애플리케이션 모델 (책임자 관점) : 지원하는 기능과 데이터 정보를 정의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를 도출하며, 이들 간의 연관관계를 정의하는 것 
  • 컴포넌트, 클래스 모델 (설계자 관점) : 실제 개발에 필요한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컴포넌트 정의, 클래스 정의, 데이터 흐름도 등이 해당되며 기업의 개발 방법론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 프로그램 목록 (개발자 관점) : 최종 단위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관리

 

다. 데이터 아키텍처

데이터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의하는 것

  • 영역 모델 (계획자 관점) : 개괄 데이터 모델이라고도 하며 상위 수준의 데이터 영역을 분류하여 표현한 것
  • 개념 데이터 모델 (책임자 관점) : 주제 영역 또는 핵심 엔터티 정도를 표현한 데이터 모델
  • 논리 데이터 모델 (설계자 관점) : 개념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한 핵심 엔터티를 기본 정보로 하여 업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데이터의 상세한 구조를 논리적으로 구체화한 것

  • 물리 데이터 모델 (개발자 관점) : 기술적 환경과 특성을 고려하여 물리적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정의하는 것

 

라. 기술 아키텍처

기술 인프라 체계를 정의하는 것

  • 전사 기술 영역 모델, 참조 모델 (계획자 관점) : 기업이 업무활동에 필요한 정보기술의 영역을 상위 수준에서 논리적으로 분류하는 것
  • 표준 프로파일 (책임자 관점) : 기술 참조 모델에 명시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기술 표준들의 집합

  • 기술 아키텍처 모델 : 전사의 기술 영역 모델, 참조 모델에서 정의된 서비스 카테고리별로 아키텍처의 패턴을 정의하거나, 기업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배치도를 정의하는 것

  • 기술 자원 목록, 제품 목록 : 표준 프로파일이나 기술 아키텍처별로 관련된 기술 자원 또는 제품 목록을 기술 아키텍처 정보로 관리한다.

 

4. 전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사례

자크만 프레임워크, 미연방정부 프레임워크, 미 재무성 프레임워크, 미 국방성 프레임워크, 오픈 그룹 프레임워크, 한국 정보 프레임워크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대표적으로 자크만 프레임워크는 다섯 가지 관점과 각 관점에 따르는 여섯 가지 묘사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많은 다른 전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에서 참조되고 있다.

각각의 전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들은 다른 점도 있지만, 공통점 또한 많다. 프레임워크를 정의할 때 이러한 선진 모델을 참조하되 기업의 특성에 맞는 것을 만들어야 하며, 경직된 사고보다는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