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SQLD

[SQL 첫걸음] 34강. 데이터베이스 설계

동호다찌 2022. 4. 4. 09:32
반응형

데이터베이스 설계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곧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내의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객체를 정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스키마 내에 정의하기 때문에 스키마 설계라 불리기도 합니다.
  • 이때 설계의 주된 내용은 테이블의 이름이나 열, 자료형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 그리고 테이블 간의 관계를 생각하면서 여러 테이블을 정의하고 작성하게 됩니다.

논리명과 물리명

  • 테이블을 설계할 때는 테이블 정의서나 설계도 등의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일반적으로 그 양식은 DESC 명령을 수행한 것과 유사합니다.
+--------------+--------------+------+-----+---------+-------+
| Field        | Type         | Null | Key | Default | Extra |
+--------------+--------------+------+-----+---------+-------+
| product_no   | char(4)      | NO   | PRI | NULL    |       |
| product_name | varchar(32)  | NO   |     | NULL    |       |
| price        | decimal(6,2) | NO   |     | NULL    |       |
+--------------+--------------+------+-----+---------+-------+
  • 이때 하나의 테이블에 두 개의 이름을 지정할 때도 있습니다.
  • 하나는 물리명(Physical Name)입니다.
  •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될 이름으로 CREATE TABLE 명령을 통해 지정되는 이름을 의미합니다.
  • 다른 하나는 논리명(Logial Name)입니다.
  • 설계상 이름을 의미합니다.
  • 이름을 이렇게 두 개로 지정하는 이유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는 시스템 규칙에 따라 길이에 제한이 있거나 공백문자를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여러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일상에서 사용하는 단어로는 이름을 지정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 따라서 CREATE TABLE 명령과 함께 사용할 물리명과 실제로 부를 때 사용할 논리명으로 테이블 이름을 지정합니다.
  •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설계도나 정의서에 논리명이 별도로 작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자료형

  • 테이블의 열에는 자료형을 지정해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다르지만 무엇이든 저장할 수 있는 만능 자료형은 없습니다.
  • 데이터에 따라서는 몇 개의 선택지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런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 기능으로 CHECK 키워드로 제약조건을 걸어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의 정합성이 중요한 부분에는 이런 기능을 적극 사용해야 합니다.

정합성(Consistency)이란 데이터의 값들이 서로 모순 없이 일관되게 일치하는 걸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중복 데이터를 많이 사용할 때 해당 데이터끼리 오타 등으로 값이 일치하지 않다면 이는 정합성이 깨진 상태입니다. 또한 비정규형을 사용하여 이상현상(Anomaly)이 발생해도 정합성이 깨집니다.

정합성과 비슷한 개념으로 무결성(Integrity)도 존재합니다.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값이 정확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무결성의 종류는 총 네 가지가 있습니다.

  • 개체 무결성(Entity Integrity)
    • 의미 : 모든 인스턴스(Instance)는 고유한 값이거나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속성,
      다시 말해 기본키(Primary Key)는 NULL값을 가지면 안 된다.
    • 예시 : 특정 회원의 아이디가 다른 회원의 아이디와 중복되어 저장되는 경우가 개체 무결성이 깨지는 걸 의미한다.
  •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의미 : 참조되는 개체의 주 식별자 값과 일치하거나 NULL값이어야 한다.
      외래키 제약에 의해 지켜진다.
    • 예시 : 특정 회원이 어떤 제품을 주문했을 때 해당 주문은 그 회원을 외래키로 연결한다.
      그런데 회원이 탈퇴했을 때 주문과 외래키가 그대로 유지되어 있으면 참조 무결성이 깨진다.
      참조 무결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회원이 탈퇴할 때 해당 회원이 주문한 주문 내역도 함께 삭제하거나 아니면 외래키 부분의 값이 NULL값이어야 한다.
  • 도메인 무결성(Domain Integrity)
    • 의미 : 같은 속성에 사용되는 값들은 같은 성격의 값이어야 한다.
      개체의 특정 속성 값은 동일한 데이터 자료형, 길이, NULL 허용 여부 등 동일한 범주의
      값만이 존재해야 한다.
    • 예시 : 이메일의 경우 반드시 @가 값에 들어가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형식 검사를 진행해야 도메인 무결성을 지킬 수 있다.

  • 업무 무결성(Business Integrity)
    • 의미 : 기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이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규칙을 의미한다.
      넓게 보면 개체 무결성, 참조 무결성, 도메인 무결성 모두 업무 무결성에 포함될 수 있다.
      업무 무결성을 물리적으로 강제하는 방법으로 트리거(Trigger)가 존재한다.
  • 예시 : 주문 금액이 특정 금액 이상이면 배달비를 무료로 해주는 경우가 있다.데이터의 정합성을 지키더라도 무결성이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정보 테이블의 고객번호가 10으로 존재하고 주문 내역 테이블에서도 해당 고객의 고객번호가 10으로 저장되어 있을 때 중복된 데이터의 값이 모순 없이 일관되기 때문에 정합성은 지켜져있지만 만약 VIP 제도가 존재하여 최대 9명의 고객만 고객번호를 1번부터 9번까지로 유지해야 하는 서비스인 경우 업무 무결성이 깨졌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무결성이 깨진 경우입니다.
  • 결론적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목표는 데이터 무결성을 높이는 데 있습니다.
  • 몇 개의 선택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열의 경우 COMMENT 키워드를 활용하여 주석을 달아놓을 수 있습니다.
  • CHECK 키워드를 사용한 선택사항 제약조건 및 COMMENT 키워드를 사용한 주석 입력, 그리고 해당 주석을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mysql > CREATE TABLE sample123 (
     -> grade INTEGER NOT NULL CHECK (grade IN (1, 2, 3)) 
     -> COMMENT '1번부터 3번까지 차례로 상, 중, 하를 의미하는 성적 컬럼'
     -> );

Query OK, 0 rows affected (0.02 sec)

mysql > SELECT table_name, column_name, column_comment 
          FROM information_schema.columns 
         WHERE table_schema = 'sample' AND table_name = 'sample123';

+------------+-------------+-------------------------------------------------+
| TABLE_NAME | COLUMN_NAME | COLUMN_COMMENT                                  |
+------------+-------------+--------------------------------------------------
| sample123  | grade       | 1번부터 3번까지 차례로 상, 중, 하를 의미하는 성적 컬럼 |
+------------+-------------+-------------------------------------------------+
1 row in set (0.00 sec)

고정길이와 가변길이

  • 문자열의 자료형에는 고정길이와 가변길이가 있습니다.
  • 어떤 것을 선택하는 지는 저장할 데이터를 고려해 결정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제조번호처럼 자리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최대 길이를 해당 제조번호의 자릿수의 맞춰 고정길이 문자열로 지정하는 게 좋습니다.
  • 반대로 게시글처럼 문자열 길이의 변동폭이 클 경우 가변길이 문자열이 더 적합합니다.
  • 데이터베이스의 열에 저장할 수 있는 크기는 꽤 작습니다. 예를 들어 VARCHAR형으로 지정할 수 있는 최대 크기는 수천 바이트 정도입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LOB(Large Object)를 사용합니다.
    LOB는 큰 데이터를 다루는 자료형이지만 인덱스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Oracle의 경우 LOB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내부 : 테이블에 LOB 형식의 열을 생성하고 해당 열에 데이터의 실제 위치를 가리키는 위치자(Locator)를 저장합니다. 왜냐하면 데이터가 테이블이 아닌 LOB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세그먼트에 알맞게 접근할 수 있게 위치를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입니다.
    • CLOB(Character Large Object) : 문자 대형 객체를 의미합니다. Oracle은 CLOB와 VARCHAR2 사이에 암시적 변환을 수행합니다. VARCAHR2는 VARCHAR와 동일한 자료형으로 VARCHAR의 경우 Oracle은 다른 형태로 바꾸려 노력 중이기 때문에 가변길이의 경우 VARCHAR2를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 BLOB(Binary Large Object) : 이진 대형 객체를 의미합니다.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NCLOB(National Character Large Object) : Oracle에서 정의되는 NCS(National Character Set)를 따르는 문자 대형 객체를 의미합니다. 이때 NCS는 유니코드 문자열 집합이 아닌 데이터베이스에 유니코드 문자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체 문자열 집합을 의미합니다.
      외부 : 데이터베이스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입니다.
    • BFILE(Binary File) : 운영체제에 저장되는 이진 파일의 이름과 위치를 저장합니다. 읽기 전용 모드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세그먼트(Segment)란 객체(Object) 중에서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인덱스(Index)와 테이블(Table)이 이에 해당합니다.

LOB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의 안전성과 데이터 저장의 일관성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사이즈가 큰 파일의 경우 운영체제 차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접근할 수 있게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그곳에 저장하여 접근하는 방식으로 관리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디렉토리를 실수로 삭제하면 데이터를 완전히 잃어버리기 때문에 부담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선택하였고 이를 위해서 LOB가 등장하였습니다. 또한 어떤 데이터는 운영체제에서 관리하고 어떤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여 일관성이 없을 경우 접근 권한이 꼬이거나 했을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을 일관성 있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가변 길이의 문자열형 중에 최대 2G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LONG형 또한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LONG RAW형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LOB는 최대 4G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하나의 행에 여러 열이 존재할 수 있고 무작위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LONG형보다는 LOB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LOB의 경우 GROUP BY, ORDER BY 등의 명령을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여러 제약사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AWS S3와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기본키

  • 기본키로 지정할 열이 생각나지 않을 경우 자동증가 열을 사용하여 기본키로 지정하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입니다.
  • 자동증가(Auto Increment)는 INSERT 명령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증가됩니다.
  • MySQL의 경우 열을 정의할 때 AUTO_INCREMENT 키워드를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때 해당 열에 PRIMARY KEY 또는 UNIQUE 키워드를 사용하여 유일성을 지정해줘야 합니다.

ER다이어그램

  • 이전에 관계에 대해서 살펴봤던 것처럼 테이블을 설계할 때는 테이블 간의 관계도 무척 중요합니다.
  • 이런 테이블 간의 관계에 관한 설계도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게 ER다이어그램(Entity Relational Diagram)입니다.
  • 풀어쓴 단어의 의미 그대로 개체(Entity) 간의 관계(Relation)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입니다. 참고로 여기서의 개체는 테이블(Table) 또는 뷰(View)를 의미합니다.
  • ER다이어그램은 보통 간단하게 ERD라 줄여서 부릅니다.
  • ERD를 그릴 수 있는 대표적인 사이트는 ERDCloud가 있습니다.
  • ERD의 예시는 아래 이미지와 같습니다.

반응형